마음공부

자존감 낮은 아이,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빛의여백 2025. 5. 8. 12:56
반응형

자존감이 낮은 아이는 또래 관계, 학습, 감정조절 등에서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 글에서는 자존감이 낮은 아이의 특징과 원인, 부모가 실천할 수 있는 자존감 향상 

방법까지 구체적으로 안내합니다.

자녀의 건강한 성장을 바라는 부모님께 꼭 필요한 정보입니다.

 

아이의 자존감, 왜 중요한가요?

"우리 아이는 왜 자신감이 없어 보일까요?"

많은 부모님이 자녀의 행동을 보며 이런 고민을 하곤 합니다.

자존감이 낮은 아이는 친구와의 관계, 학교생활, 감정표현에서 여러 어려움을 겪습니다.

자존감은 아이가 자신의 존재 가치를 어떻게 인색하는지를 결정짓는 핵심 심리 요소입니다.

 

자존감 낮은 아이의 특징

자존감이 낮은 아이는 다음과 같은 모습들을 자주 보입니다.

 

● 자기 비하

"나는 못해", "나는 친구들이랑 잘 못 어울려"와 같은 말로 자신을 낮게 평가합니다.

● 도전에 대한 두려움

실패를 두려워해 새로운 시도나 변화에 소극적입니다.

● 칭찬을 잘 받아들이지 못함

"그건 운이었어요"처럼 자신의 성취를 축소합니다.

● 또래 관계에서 위축

혼자 있으려 하거나 친구들의 의견에 무조건 따릅니다.

 

이러한 특성은 학업, 대인 관계, 정서적 안정감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김현수, <아이의 자존감>

 

자존감이 낮아지는 원인

아이의 자존감은 유전적 성향과 환경적 경험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됩니다.

특히 부모의 양육 방식과 일상에서의 경험이 큰 영향을 끼칩니다.

 

● 지나친 비교와 비판

"왜 너는 형처럼 못하니?", "이것도 못 해?"와 같은 말은 아이의 자기 가치를 훼손합니다.

● 과도한 기대와 통제

아이의 선택을 존중하지 않고 모든 걸 통제하면, 무기력함과 열등감이 자리 잡습니다.

● 부정적인 또래 경험

따돌림, 놀림 등은 자존감 하락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동아일보 2024.03.05, <학교폭력, 자존감 저하로 이어진다>

● 반복된 실패 경험

"나는 아무것도 못 해"라는 무력감을 형성하게 됩니다.

● 사회 환경과 미디어 영향

완벽주의적 기준이나 비교 중심의 문화도 자존감 저하를 부추깁니다.

월간 부모, 2023년 10월호

 

자존감 높이는 실천법

자존감은 훈련과 반복을 통해 회복 가능한 심리적 능력입니다.

부모의 실천이 아이의 자존감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열쇠입니다.

 

● 무조건적인 사랑 표현

"네가 잘해서가 아니라, 존재 자체로 소중해"라는 메시지를 자주 주세요.

실패에도 "괜찮아, 넌 소중한 아이야"라고 말해 주세요.

● 작은 성공 경험부터 쌓기

스스로 해낼 수 있는 일을 맡기고, 성공 경험을 반복하게 도와주세요.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 노력 중심의 칭찬 사용

결과보다 과정을 칭찬하세요. 

"잘했어" 대신 "노력한 모습이 멋졌어"가 훨씬 효과적입니다.

● 공감과 경청 실천하기

비판보다 공감과 지지가 먼저입니다.

"그럴 수도 있지", "속상했겠구나" 같은 말은 아이에게 깊은 안정감을 줍니다.

● 실패를 성장의 과정으로 인식시키기

"실패도 배우는 거야"라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세요.

실패 후 아이와 함께 원인을 돌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 좋은 또래 관계 맺기 지원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세요.

건강한 사회적 경험은 자존감 회복에 큰 도움을 줍니다.

이런 실천이 반복되면 아이는 자신에 대한 믿음을 점차 회복하게 됩니다.

 

마무리하며

자존감이 낮은 아이도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과 실천으로 충분히 변화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완벽한 부모가 되는 것보다,

따뜻한 관심과 지지를 지속적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오늘부터 아래 실천 중 하나라도 시작해 보세요.

  •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들어주기
  •  "괜찮아, 넌 소중해"라는 말 해주기
  •  결과보다 과정 칭찬하기

아이의 자존감은 곧 아이의 미래를 바꾸는 힘이라는 사실을 꼭 기억해 주세요.

반응형